하이브리드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브리드 전쟁은 정규전, 비정규전, 테러, 범죄 등 다양한 전쟁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전쟁 형태를 의미한다. 냉전 종식 이후 국가 간 전면전의 가능성이 줄어들면서 사이버 공격, 정보전 등 새로운 형태의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등장했다. 하이브리드 전쟁은 복잡하고 유동적인 적, 전통적인 방식과 비정규적인 방법의 결합, 첨단 무기 시스템 및 대중매체를 이용한 선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사이버전, 정보전, 경제적 수단을 포함한다. 대응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NATO와 EU는 하이브리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쟁 개념 - 국지전
국지전은 무력 충돌의 강도, 교전 목적, 국가의 입장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는 제한적인 규모의 전쟁으로, 전면전으로 확대되기 이전 단계에서 특정 지역에 한정되어 수행되거나 전략적 목표를 포함하며, 현대에는 전면전의 위험성 때문에 빈번하게 발생하고 새로운 양상을 띠고 있다. - 전쟁 - 시가전
시가전은 도시나 마을과 같은 시가지에서 벌어지는 전투로, 복잡한 지형과 민간인 때문에 개활지 전투와 다른 전술 및 전략이 필요하며, 방어에 유리하고 공격 측 화력 사용이 제한되는 특징을 가진다. - 전쟁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하이브리드 전쟁 | |
|---|---|
| 하이브리드 전쟁 | |
![]() | |
| 유형 | 재래식 전쟁 비정규전 사이버 전쟁 정보전 경제적 수단 정치적 수단 |
| 목표 | 영향력 증대 불안정 야기 정치적 목표 달성 적대국 약화 |
| 관련 개념 | 영역 분쟁 회색 지대 전쟁 대리전 제한 전쟁 소규모 전쟁 대테러 작전 |
| 특징 | |
| 복합적 접근 |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정보적 수단의 혼합 사용 |
| 국가 및 비국가 행위자 | 국가뿐만 아니라 민간 단체, 테러 조직, 범죄 조직 등의 참여 |
| 비대칭 전략 | 강점과 약점을 이용한 비대칭적 전략 사용 |
| 장기적 목표 | 단기적 군사적 승리보다 장기적인 정치적 목표 달성 |
| 정보전 및 사이버 공격 | 정보전과 사이버 공격을 주요 수단으로 활용 |
| 불확실성 및 모호성 | 작전의 의도와 책임 소재가 모호하여 대응을 어렵게 만듦 |
| 대중 조작 | 대중 매체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여론 조작 시도 |
| 역사적 맥락 | |
| 냉전 시대 | 냉전 시기 대리전과 첩보전이 하이브리드 전쟁의 원형으로 작용 |
| 현대적 발전 | 21세기 들어 사이버 공간의 발전과 정보전의 중요성 증대로 하이브리드 전쟁이 더욱 활발하게 전개 |
| 주요 사례 | |
| 러시아 | 크림반도 합병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분쟁 미국 대통령 선거 개입 의혹 발트해 연안 국가 대상의 영향력 행사 |
| 중국 | 남중국해에서의 영토 분쟁 경제적 강압을 이용한 영향력 확대 사이버 스파이 활동 |
| 이란 | 중동 지역 대리전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 사이버 공격 및 정보 작전 |
| 기타 | ISIL의 테러 및 선전 활동 멕시코 마약 카르텔의 폭력 및 사회 불안 조장 |
| 방어 전략 | |
| 종합적 접근 | 국방력 강화 사이버 보안 강화 정보전 대응 능력 강화 경제 안보 강화 대중의 인식 개선 |
| 국제 협력 |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공조 강화 정보 공유 및 공동 대응 |
| 민관 협력 | 민간 부문의 전문성과 기술력을 활용 과학 기술 개발 및 투자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The Rise of Hybrid Wars Election Shenanigans Kenya Hybrid Warfare Menacing Malware Shows the Dangers of Industrial System Sabotage It's the (Democracy-Poisoning) Golden Age of Free Speech Inside a European Center to Combat Russia's Hybrid Warfare Defense lacks doctrine to guide it through cyberwarfare |
2. 정의
혼성전(Hybrid warfare)에 대한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정의는 없으며, 그 유용성과 단순히 비정규전 방식을 사용하여 전통적으로 우세한 세력에 대응하는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이 용어의 모호성 때문에 종종 모든 비선형적 위협에 대한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된다.[9][10][11][12]
혼성전은 다음과 같은 측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전쟁으로 이해될 수 있다.
- '''비표준적이고 복잡하며 유동적인 적''': 혼성전의 적은 국가 또는 비국가 행위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과 시리아 내전에서 주요 적대 세력은 국가 시스템 내의 비국가 행위자였다. 비국가 행위자는 국가의 대리전으로 활동할 수 있지만 독자적인 의제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이란은 헤즈볼라의 후원자이지만,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으로 이어진 이스라엘 군인 납치 사건은 이란의 의제가 아닌 헤즈볼라의 의제 때문이었다. 반면, 우크라이나에서의 러시아 개입(2022년 이전)은 (지역의 혼성 대리 세력을 이용하는 것 외에도) 전통적인 국가 행위자가 혼성전을 수행하는 것으로 묘사될 수 있지만, 러시아는 2014년 우크라이나 분쟁에 대한 개입을 부인한다.[10][11][13]
- '''전통적 및 비정규적 방법의 결합 사용''': 방법과 전술에는 정규전 능력, 비정규 전술, 비정규 편제, 외교, 정치, 테러 행위, 무차별 폭력 및 범죄 활동이 포함될 수 있다. 혼성전의 적은 또한 책임 추궁이나 보복을 피하기 위해 은밀한 행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통일된 전략을 가지고 갈등의 전 영역에서 동시에 사용된다. 현재의 예로는 이슬람 국가의 초국가적 야망, 혼합된 전술, 체계적인 편제, 그리고 무기고의 일부로서 잔혹한 테러리즘의 사용을 들 수 있다.[9][10][13][14][15][6]
-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 예를 들어, 이슬람 국가는 미국의 공습 작전에 대한 대응으로 검문소의 사용, 대규모 차량 행렬, 그리고 휴대전화 사용을 신속하게 줄였다. 무장 세력은 민간인들 사이에 분산되었다. 공습으로 인한 민간인 부수적 피해는 효과적인 모병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10][16]
- '''첨단 무기 시스템 및 기타 파괴적 기술의 사용''': 이러한 무기는 현재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17][18] 또한, 휴대전화 네트워크와 같이 새로운 기술들이 전장에 적용되고 있다. 2006년 헤즈볼라는 정밀 유도 미사일과 같은 첨단 무기로 무장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국가들이 사용하는 무기이다. 헤즈볼라 부대는 이스라엘 헬리콥터를 격추시키고, 순항 미사일로 순찰정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으며, 은폐된 벙커에서 유도 미사일을 발사하여 중장갑 전차를 파괴했다. 또한 무인 항공기를 사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암호화된 휴대전화로 통신하며, 열 야간 투시 장비를 사용하여 이스라엘군의 움직임을 감시했다.[11][13]
- '''대중매체를 이용한 선전''': 대중 매체 네트워크의 성장은 강력한 선전 및 모병 도구를 제공한다.[9][6] 거짓 이야기를 퍼뜨리기 위해 가짜 뉴스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은 혼성전의 가능한 요소이다.[19][20]
- '''세 가지 고유한 전장''': 이들은 전통적인 전장, 갈등 지역의 토착 주민, 그리고 국제 사회이다.[14][21]
미합중국 육군 참모총장(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rmy)은 혼합 위협을 "기존, 비정규, 테러 및 범죄 능력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조합을 통합하는 적"으로 정의했다.[10] 미합중국 합동군사령부(United States Joint Forces Command)는 혼합 위협을 "작전 전투 공간에서 기존, 비정규, 테러 및 범죄 수단 또는 활동의 맞춤형 조합을 동시적이고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적"으로 정의한다. 단일 주체라기보다는 혼합 위협 또는 도전자는 국가 행위자와 비국가 행위자의 조합일 수 있다.[10]
미 육군(US Army)은 2011년 혼합 위협을 "상호 이익이 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통합된 정규군, 비정규군, 범죄 요소 또는 이러한 군대와 요소의 조합"으로 정의했다.[10] NATO는 이 용어를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 및 비전통적 수단을 동시에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을 설명하는 데 사용한다.[9]
전 미 육군 참모총장 조지 케이시 주니어(George W. Casey Jr.)는 미래에 점점 더 일반화될 새로운 유형의 전쟁, 즉 "비정규전과 재래식 전쟁의 혼합"에 대해 이야기했다.[11] 2017년에 설립된 혼합 위협 대응 유럽 우수 센터(European Centre of Excellence for Countering Hybrid Threats)에 따르면, "혼합 위협은 상대방의 취약성을 목표로 하는 방법과 활동"이며, "방법과 활동의 범위는 넓다".[22]
회색 지대 갈등 또는 전쟁 개념은 하이브리드전 개념과는 구분되지만, 현대 국가들이 회색 지대에서 비전통적인 도구와 하이브리드 전술을 가장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두 개념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23] 그러나 선전 활동, 경제적 압력, 비국가 행위자의 이용과 같은 국가들이 회색 지대에서 사용하는 많은 비전통적 도구들은 공식적인 국가 차원의 공격으로 이어지는 문턱을 넘지 않는다.[25]

전통적인 군대는 갈등의 원인을 밝히기 어렵기 때문에 혼합전에 대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글로벌 시큐리티 리뷰''에 실린 논문 "[https://globalsecurityreview.com/hybrid-and-non-linear-warfare-systematically-erases-the-divide-between-war-peace/ 혼합전이란 무엇인가?]"는 혼합전 개념을 러시아의 "비선형" 전쟁 개념과 비교하며, 이를 "전통적 및 비정규 군사력과 심리적, 경제적, 정치적, 사이버 공격을 결합한 배치"로 정의한다. 이 논문은 NATO가 전쟁 개념 자체를 정의하는 데 사용하는 "경직된" 또는 정적인 군사 분류에 그 어려움의 일부 원인을 돌린다.[26]
혼합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힘만으로는 종종 불충분하다. 갈등은 종종 감지되지 않은 채 진행되며, "신속한" 대응조차도 너무 늦을 수 있다. 압도적인 병력 또한 충분한 억지력이 되지 못한다. 많은 전통적인 군대는 전술, 우선순위 및 목표를 끊임없이 바꿀 수 있는 유연성이 부족하다.[13][14]
하이브리드 전쟁 개념의 기원으로 1999년 중국 군인 조량(喬良)과 왕샹후이(王湘穂)가 발표한 「초한전(超限戦)」을 들 수 있다. 여기서는 정치, 경제, 종교, 심리, 문화, 사상 등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무기화한다는 생각이 제시되었다.[57]
2013년 러시아 총참모장 게라시모프는 "예측에서 과학의 가치"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그는 21세기에는 현대전 모델이 통용되지 않고, 전쟁은 평시와 유사시를 구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진행되며, 전쟁 수단으로는 군사적 수단뿐 아니라 비군사적 수단의 역할이 증가하고, 정치·경제·정보·인도적 조치를 통해 적국 주민의 "저항 잠재력"을 활성화하는 것이 이루어진다고 서술했다.[60] 이 논문은 "게라시모프 독트린"으로 불리며, 다음 해 발표된 러시아의 새로운 군사 독트린은 이를 반영하여 개정되었다.[57] 신 독트린에는 "비핵 억제 시스템"의 개념이 포함되었는데, 이는 "대외 정책, 군사적 수단, 군사 기술적 수단의 총체로서, 비핵 수단을 통해 러시아에 대한 침략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고이즈미 유에 따르면, 러시아는 크림 위기에서 이 "비핵 억제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전용했다고 한다.[61]
하이브리드 전쟁이 특히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14년 크림 위기부터이다. 이 분쟁에서 러시아가 거의 무혈로 크림반도를 점령·병합한 것으로부터, 러시아가 새로운 군사력 행사 형태를 만들어낸 것이 아니냐는 주목을 받았다.[58] 국제전략연구소 (IISS)는 2015년 5월 19일, "무장 분쟁 조사 2015 (Armed Conflict Survey)"에서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한 수법을 "하이브리드 전쟁"으로 규정했다.[62]
3. 등장 배경
2000년대 초부터 하이브리드 위협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사이버 공격을 동반하는 특징을 보인다. 인터넷 네트워크의 전 세계적 확장, 정보통신기술(ICT) 및 사물인터넷(IoT)의 발전에 따른 초연결 사회의 등장은 하이브리드 전쟁 개념이 등장하는 주요 배경이 되었다.[86]
회색 지대 갈등 또는 전쟁 개념은 하이브리드 전쟁과 구분되지만, 현대 국가들이 회색 지대에서 비전통적인 도구와 하이브리드 전술을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두 개념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23] 그러나 선전 활동, 경제적 압력, 비국가 행위자 이용 등 회색 지대에서 사용되는 많은 비전통적 도구들은 공식적인 국가 차원의 공격으로 이어지는 문턱을 넘지 않는 경우가 많다.[25]
하이브리드 전쟁이 완전히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지난 3,000년간의 전쟁사 및 통치 관련 저술들을 보면 유사한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27] 재래식 전투 방식과 비정규전 방식을 결합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꾸준히 사용되어 왔으며,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조지 워싱턴의 대륙군과 민병대의 결합이나, 나폴레옹 전쟁 당시 영국 정규군과 스페인 게릴라의 협력 등이 그 예시다.[28] 19세기 과테말라의 라파엘 카레라 역시 게릴라 전술과 재래식 작전을 혼합하여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다.[29] 소비에트 연방 또한 1944년 투바 인민 공화국을 합병하는 과정에서 군사적 압박과 정치적 공작을 결합한 방식을 사용했다.[30]
현대적인 하이브리드 전쟁 개념은 1999년 중국 군인 조량(喬良)과 왕샹후이(王湘穂)가 발표한 「초한전」(超限戦)에서 그 단초를 찾을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정치, 경제, 종교, 심리, 문화, 사상 등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무기화한다는 개념이 제시되었다.[57] 이후 2008년 미국 육군 야전 교범 3-0C.1에 "하이브리드 위협"이라는 개념이 처음으로 포함되었다.[58]
2013년에는 러시아 총참모장 발레리 게라시모프가 발표한 논문, 이른바 '게라시모프 독트린'이 주목받았다. 이 논문은 현대전이 평시와 전시의 구분이 모호해지며, 군사적 수단뿐 아니라 정치·경제·정보·인도주의적 조치 등 비군사적 수단의 역할이 증대되고 이를 통해 적국 주민의 저항 잠재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간다고 분석했다.[60] 이 개념은 이후 러시아의 군사 독트린 개정에 반영되었다.[57][60]
하이브리드 전쟁 개념이 국제적으로 크게 주목받기 시작한 계기는 2014년 크림 위기이다. 러시아가 군사력뿐 아니라 정보전, 사이버 공격, 현지 협력 세력 활용 등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여 거의 무력 충돌 없이 크림반도를 점령하고 병합하자, 이것이 새로운 형태의 전쟁 수행 방식이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었다.[58]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는 2015년 보고서에서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방식을 "하이브리드 전쟁"으로 규정했다.[62]
4. 특징
과거의 전쟁이 주로 국가 간의 재래식 전쟁(예: 세계 대전, 6.25 전쟁)이었던 것과 달리, 베트남 전쟁 이후 비정규전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21세기 들어서는 정규전과 비정규전의 이분법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새로운 형태의 전쟁, 즉 하이브리드 전쟁이 증가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전쟁은 재래식 전쟁 방식, 비정규전 전술, 테러 행위, 범죄 행위 등 다양한 수단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8]
혼성전(Hybrid warfare)에 대한 보편적으로 합의된 정의는 없으며, 그 개념의 유용성이나 이것이 단순히 비정규전 방식을 통해 전통적 강대국에 맞서는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용어의 모호함 때문에 모든 비선형적 위협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9][10][11][12]
하이브리드 전쟁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다양한 전쟁 방식의 혼합: 정규전 능력, 비정규 전술, 비정규 편제, 외교, 정치, 테러 행위, 무차별 폭력 및 범죄 활동 등 다양한 방식이 동일한 전역이나 전장에서 동시에 사용된다. 이는 무분별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정치적, 전략적 목적 아래 통제되고 계획되어 치밀하게 전개된다.[9][10][13][14][15][6] 책임 추궁이나 보복을 피하기 위해 은밀한 행동을 사용할 수도 있다.
- 복잡하고 유동적인 행위자: 적은 국가일 수도 있고, 헤즈볼라나 이슬람 국가와 같은 비국가 행위자일 수도 있다. 이들은 때로 특정 국가의 대리전 역할을 수행하지만, 독자적인 목표를 추구하기도 한다 (예: 2006년 레바논 전쟁의 발단이 된 헤즈볼라의 이스라엘 군인 납치). 군대 조직 역시 전문적인 정규군 외에 게릴라, 테러 분자, 범죄 조직 등이 혼합되어 편성될 수 있다.[10][11][13]
- 첨단 기술 및 무기 활용: 비교적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첨단 무기 시스템(예: 유도 미사일, 무인 항공기)과 파괴적인 기술이 적극적으로 사용된다.[17][18] 2006년 레바논 전쟁 당시 헤즈볼라는 정밀 유도 미사일, 암호화된 휴대전화 통신, 열 야간 투시 장비 등을 활용하여 이스라엘군에 대응했다.[11][13]
-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 하이브리드 전쟁 행위자는 상황 변화에 맞춰 전술, 우선순위, 목표를 신속하게 변경하는 유연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이슬람 국가는 미군의 공습에 대응하여 검문소 운영, 대규모 차량 이동, 휴대전화 사용 등을 빠르게 줄이고 민간인 사이에 분산하여 활동했다.[10][16] 발달된 통신 기술은 이러한 분권화되고 융합된 조직의 즉각적인 조치와 대응을 가능하게 하여 상대보다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게 한다.
- 선전전 및 정보전: 대중매체 네트워크의 발달은 강력한 선전 및 동원 도구를 제공한다.[9][6] 특히 가짜 뉴스 웹사이트 등을 이용해 허위 정보를 퍼뜨리는 것은 하이브리드 전쟁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19][20] 2006년 레바논 전쟁에서 헤즈볼라는 전투 관련 영상과 사진을 신속하게 배포하여 여론전에서 우위를 점했고, 이는 이스라엘의 패배라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35]
- 범죄 행위의 전략적 활용: 범죄 행위는 단순히 작전 자금 조달 수단을 넘어, 전략적, 작전적 목표 달성을 위해 사전에 계획되어 실행되는 군사작전의 일부로 기능한다. 이를 통해 하이브리드 전쟁 수행 주체는 기존의 국제법, 규정, 협약 등의 제약을 무시하고 목적 달성을 위해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 확장된 전장: 하이브리드 전쟁은 전통적인 물리적 전장, 갈등 지역의 민간인(토착 주민), 그리고 국제 사회의 여론이라는 세 가지 영역에서 동시에 수행된다.[14][21]
이러한 특징들 때문에 전통적인 군대는 하이브리드 위협에 대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갈등의 원인이나 행위자를 명확히 식별하기 어렵고, 위협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 또한, 전통적인 군대의 경직된 구조와 전술적 유연성 부족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하이브리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단순히 강력한 힘을 동원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억지력이나 대응책이 되기 어렵다.[26][13][14]
5. 위협의 종류
미국 합동전력사령부는 하이브리드 위협을 "작전적 전장에서 재래식, 불규칙적, 테러, 범죄 수단의 혼합된 형태의 공격을 동시다발적으로 강행하는 적"으로 정의한다. 조지 W. 케이시 전 미 육군 참모총장은 하이브리드 전쟁이 미래에 더욱 보편화될 "비정규 전쟁과 재래식 전쟁의 혼합체"라고 보았으며,[80] 로버트 게이츠 전 미 국방장관 역시 미래에는 전쟁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다양한 전쟁 수단이 "복잡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전쟁에서 동시에 운용"될 것으로 예측했다.[81] 미 육군 교육사령부도 2008년 교범에서 미래 작전 환경의 특징으로 "분권화되고 조합화된 정규/비정규 집단, 테러리스트, 범죄조직들이라는 하이브리드 위협"을 명시했다.[82]
하이브리드 공격은 사이버전, 정보전, 경제적 압박 등 다양한 수단을 포함하며, 평시에도 경제 제재, 사이버 공격, 선전과 기만, 가짜 뉴스를 동원한 정보전 등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위협은 크게 사이버전, 정보전, 경제적 수단을 활용한 압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87]
5. 1. 사이버전

사이버전은 컴퓨터 바이러스(웜, 랜섬웨어, 말웨어 등)나 해킹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을 공격하여 마비시키는 방식을 의미한다. 가장 흔한 형태는 공공기관, 민간 시설, 주요 인프라 시설을 공격하여 사회적 불안을 조성하는 것이다.[87] 예를 들어, 러시아는 크림반도 점령 전 '크래시오버라이드'(CrashOverride)라는 악성코드를 이용해 우크라이나 전력망을 공격했다. 이 공격으로 키예프[89] 전력의 20%가 중단되었고, 주민 22만 5천 명이 피해를 입었다.[90][87]
북한 역시 세계적인 사이버 공격 능력을 갖추고 여러 차례 한국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했다. 2009년에는 디도스(DDos) 공격으로 한국과 미국의 주요 웹사이트를 마비시켰다.[87] 2013년에는 KBS, MBC, YTN 등 주요 언론사와 신한은행, 제주은행, 우리은행 등 금융기관의 전산망을 마비시키는 공격을 실행했다.[87] 2017년에는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으로 한국을 포함한 90여 개국의 컴퓨터를 감염시켜 전 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입혔다.[87] 북한은 소니픽쳐스사나 영국의 지상파 방송국인 Channel 4를 공격하는 등 정치적 목적의 사이버 공격도 수행했다.[87] 이란의 이슬람 혁명 수비대 산하 사이버 부대 역시 2013년 미국 뉴욕주 바우맨 댐의 수위 조절 컴퓨터 시스템을 해킹한 사례가 있다.
사이버전은 상대국의 군사력을 억제하기 위한 전략적 예방 차원에서도 활용된다. 공격 주체를 명확히 밝히기 어렵고 책임 소재도 불분명하다는 특성 때문에, 민감한 외교적·군사적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은 이란의 우라늄 농축과 핵 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2010년 이란 나탄즈 핵 시설에 바이러스 코드를 심었다.[91][87] 또한 미국은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를 방해하기 위해 '발사 직전 교란'(Left of launch) 작전이라는 사이버 공격을 사용하기도 했다.[87]
5. 2. 정보전
정보전은 사이버 공간을 활용하여 여론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거나 가짜 뉴스를 퍼뜨려 사회적 혼란을 일으키는 활동이다.[87] 과거에도 러시아는 정보전을 전통적인 전략으로 사용해왔으나, 최근에는 사이버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더욱 정교해지고 효율적인 전략으로 발전하고 있다.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가짜 뉴스를 유포하고 음모론을 퍼뜨려 사회 혼란을 부추겼으며,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 소수 민족의 독립 운동을 선동하는 데에도 정보전을 이용했다. 특히 2016년 미국 대선에서는 정보전을 통해 선거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여 결과에 영향을 미치려 시도했으며, 이는 민주주의 시스템 자체를 위협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87]
중국 역시 미국의 기술 발전을 따라잡기 위한 수단으로 정보전을 활용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기술 기업들을 해킹하여 군사 및 기술 관련 데이터를 포함한 기업 기밀을 탈취하고, 이를 자국 기업의 기술 발전에 이용하는 전략을 취해왔다. 2014년에는 C-17 군용수송기를 포함한 미국 방산업체의 기밀을 탈취한 혐의로 중국인이 기소되기도 했다.[87]
북한이나 이란과 같이 상대적으로 경제력이나 군사력이 약한 국가들은 비대칭전의 수단으로 정보전을 적극 활용한다. 2016년에는 북한이 한국 국방부 통합 데이터 센터를 해킹하여 한미 연합 군사 계획을 포함한 국가 기밀 정보를 빼돌린 사건이 발생했다.[87]
국가뿐만 아니라 비국가 행위자들도 정보전을 활발히 이용하고 있다. 알카에다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선전 활동을 펼쳤고, 탈레반은 텔레그램 채널을 운영하며 자신들의 주장을 전파했다. ISIS 역시 소셜 미디어를 조직원 모집과 선전 활동에 적극 활용하여 세력을 빠르게 확장했다.[87]
5. 3. 경제
하이브리드 공격은 경제 제재, 무역 분쟁, 수출 규제 등 경제적 수단을 동원하여 상대방에게 외교적 압박을 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87] 평시에도 이러한 경제적 수단을 활용한 공격이 진행될 수 있다.미국과 중국 간의 미중 무역 전쟁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트럼프 행정부 시기 미국은 자유주의 경제 체제를 외교적 압박 카드로 활용하며 중국에 대규모 수입 관세를 부과하였고, 안보 문제를 명분으로 화웨이에 대한 압박을 이어갔다.[87]
중국은 2017년 대한민국의 사드(THAAD) 배치에 대한 경제 보복 조치로 중국 내 반한 감정과 한국 상품 불매 운동을 부추기기도 했다.[87][88]
또한 일본은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대법원의 배상 판결에 대응하여 2019년 대한민국을 대상으로 반도체 핵심 소재 등에 대한 수출 규제를 단행했는데, 이 역시 경제적 수단을 이용한 외교적 압박 사례로 볼 수 있다.[87]
6. 사례
- '''에스토니아 사이버 전쟁 (2007년)'''
2007년 4월, 에스토니아 정부가 수도 탈린에 있던 구소련 참전 기념 동상을 이전하기로 결정하면서 촉발되었다. 이 동상은 에스토니아인에게는 소련 통치의 상징이었으나, 러시아계 주민에게는 나치에 맞서 싸운 영웅의 상징이었다.

동상 이전에 반대하는 러시아계 주민들의 시위가 격화되고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에스토니아와 러시아 간 외교 갈등으로 번졌다. 이후 에스토니아 대통령궁, 정부 기관, 금융 기관, 언론사, 통신 기업 등을 대상으로 3주간 대규모 디도스(DDoS) 공격이 발생하여 국가 시스템 전체가 마비되는 사태가 벌어졌다.[92][94] 러시아는 이 공격의 배후로 지목되었다.
- '''러시아-조지아 전쟁 (2008년)'''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은 조지아군과 친러시아 성향의 남오세티야 분리주의 세력 간의 충돌에서 시작되었다. 러시아는 조지아에 대규모 지상군을 투입하는 정규전을 수행하는 동시에, 사이버 공격을 병행했다.
러시아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컴퓨터 네트워크인 봇네트를 이용하여 메일 폭탄과 디도스 공격을 감행하여 조지아의 정부 기관, 언론사 등의 전산망을 무력화했다.[94] 민간 사이버 범죄 조직인 '러시아 비즈니스 네트워크'가 동원되기도 했다.[94]
-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은 하이브리드 전쟁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66] 이란의 지원을 받는 레바논의 시아파 무장 조직인 헤즈볼라는 이스라엘 군인 납치를 계기로 이스라엘과 충돌했다.[13][66]
약 3,000명의 헤즈볼라 전투원은 현지 주민들 사이에 섞여 약 30,000명의 이스라엘 정규군에 맞섰다.[11][67] 헤즈볼라는 게릴라전과 정규전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했으며, 대전차 미사일, 로켓, 무장 무인 항공기, 정교한 IED 등 국가 수준의 무기를 운용했다.[34][68] 이들은 분산된 조직을 활용하여 이스라엘 헬리콥터를 격추하고 메르카바 전차에 피해를 입혔으며, 암호화된 통신 장비와 야간 투시경 등을 사용했다.[11][69] 이란 쿠드스군은 이 과정에서 지도 및 지원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11][69]

헤즈볼라는 대중 매체를 적극 활용하여 조작된 전투 장면이나 폭격 피해 사진 등을 유포하는 사이버·심리전을 병행했다.[94][70] 또한 이스라엘군 컴퓨터 시스템을 해킹하여 군사 정보를 수집하기도 했다.[94] 이스라엘은 전술적으로는 패배하지 않았으나, 여론전과 정보전에서는 헤즈볼라에게 밀렸다는 평가를 받는다.[35][70]
- '''2014년 ISIL의 이라크 진출'''
ISIL은 이라크 정규군에 맞서 하이브리드 전술을 사용한 대표적인 비국가 행위자이다. ISIL은 자신들의 세력 확장을 위해 비정규전, 정규전, 테러 등 다양한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했다.[9][71]
이에 대응하여 이라크 정부는 ISIL의 진격을 막기 위해 쿠르드족 페슈메르가나 시아파 민병대와 같은 비국가 행위자 및 미국 등 국제 행위자들과 협력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대응했다.[36][72] 미국 역시 전통적인 공군력 지원과 함께 이라크 정부군 및 쿠르드 민병대에 대한 군사 고문 파견, 시리아 반군 훈련 등 다양한 수단을 결합하여 개입했다.[36][72] 이처럼 이라크와 시리아에서의 분쟁은 국가와 비국가 행위자들이 복잡하게 얽혀 각자의 목적을 추구하는 하이브리드 전쟁의 양상을 띠었다.[36][72]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14년~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가 하이브리드 전쟁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러시아의 개입은 단계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 * '''크림반도 합병 (2014년):''' 2014년 우크라이나 혁명 이후 러시아는 크림반도에 군대를 투입했다. 이때 투입된 병력은 소속을 알 수 없는 군복을 착용한 이른바 '리틀 그린 맨'으로, 러시아 공수군과 특수작전군 병력이 포함되었다.[73] 이들은 우크라이나군과의 직접적인 교전은 최소화하면서 주요 시설을 점령했다.[94] 군사적 행동 외에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내 친러시아 세력(현지 민병대, 코사크 부대 등)을 동원하고,[73] 통신망 차단, 정부 웹사이트 공격 등 사이버 공격과[74] 가짜 뉴스 유포, SNS를 통한 여론 조작 등 정보전 및 심리전을 광범위하게 전개했다.[74] 이를 통해 러시아는 국제 사회의 비난 속에서도 큰 저항 없이 크림반도를 병합했다.[58][62]
- * '''동우크라이나 분쟁 개입:''' 크림반도 합병 이후 러시아는 동우크라이나 지역 분쟁에도 개입했다. 직접적인 군사 침공보다는 우크라이나 내 친러시아 분리주의 반군을 지원하고, 이들의 활동을 선전전, 정보전, 경제적 압박 등 비군사적 수단으로 뒷받침하는 방식을 사용했다.[93] 러시아는 역정보 유포, 언론 통제, 경제 제재 및 에너지 공급 중단 위협 등을 통해 우크라이나 정부를 약화시키고 사회 혼란을 부추기려 했다.[93]
- * '''전면 침공 이후 (2022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이후에도 재래식 군사 작전과 더불어 사이버 공격, 정보전, 에너지 무기화 등 하이브리드 전술이 계속 사용되고 있다. 러시아는 와그너 그룹과 같은 민간 군사 기업(PMC)을 활용하여 개입의 직접적인 책임을 회피하려는 모습도 보였다.[37][75]
- '''기타 사례'''
하이브리드 위협은 사이버 공격과 결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아래 표는 주요 사례를 보여준다.
| 시기 | 분쟁 | 내용 |
|---|---|---|
| 2006년 7월 | 이스라엘-레바논 전쟁 | |
| 2007년 4월 | 러시아의 에스토니아 사이버 공격 | |
| 2008년 6월 | 러시아-조지아 전쟁 | |
| 2012년 11월 | 가자-이스라엘 분쟁 (방어 기둥 작전) | |
| 2013년 11월 | 이스라엘-하마스 교전 | |
| 2014년 3월 |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 |
| 2016년 이후 | 러시아의 사이버 심리전을 이용한 서구권 선거개입 |
7. 대응
하이브리드 전쟁은 군사적 수단과 비군사적 수단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식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이러한 위협은 탐지하기 어렵고 변화무쌍하여 신속한 대응조차 효과를 보기 힘들 수 있으며, 단순히 강력한 군사력만으로는 억지력을 발휘하기 어렵다.[13][14] 이에 따라 각국 및 국제기구는 하이브리드 위협에 맞서기 위한 새로운 전략과 협력 체계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NATO와 EU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하이브리드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7. 1. 위협 대응의 어려움
하이브리드 위협은 그 복합적인 성격 때문에 대응하기 매우 어렵다. 최첨단 기술을 이용한 미래전 대비만으로는 복잡한 전술을 구사하는 하이브리드 위협에 효과적으로 맞서기 어렵다. 현대의 하이브리드전은 과거의 비정규전과 달리 고도로 발전된 군사 기술과 정보 기술이 결합되어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또한, 선진국들이 발전시킨 첨단 기술로 전투 방식을 단일화하는 것은 오히려 공격자에게 공격 대상의 취약점을 노출시켜 악용될 소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공격 주체가 계속해서 새로운 공격 형태를 개발하도록 유도하는 결과를 낳는다.[13][14]특히 사이버 심리전의 경우, 공격자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위협 행위를 실행할 수 있어 항상 선제공격의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이는 사이버 심리전 역시 일반적인 사이버 공격처럼 비대칭전의 성격을 띠게 하며, 전시뿐만 아니라 평시에도 일상적인 소통 행위를 가장하여 공격 대상 사회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이브리드 위협은 전쟁의 모든 영역을 포괄하며, 모든 수준과 형태의 분쟁에 대한 대비 태세를 요구한다.
전통적인 군대는 하이브리드전의 복잡성 때문에 갈등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워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글로벌 시큐리티 리뷰''에 실린 논문 "[https://globalsecurityreview.com/hybrid-and-non-linear-warfare-systematically-erases-the-divide-between-war-peace/ 혼합전이란 무엇인가?]"는 하이브리드전을 러시아의 "비선형(non-linear)" 전쟁 개념과 비교하며, 이를 "전통적 및 비정규 군사력과 심리적, 경제적, 정치적, 사이버 공격을 결합한 배치"로 정의한다. 이 논문은 NATO가 전쟁 개념을 정의하는 데 사용하는 경직되고 정적인 군사 분류 방식이 이러한 어려움의 한 원인이라고 지적한다.[26]
하이브리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강력한 힘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많다. 갈등은 종종 탐지되지 않은 채 진행되며, "신속한" 대응조차 너무 늦을 수 있다. 압도적인 군사력 역시 충분한 억지력이 되지 못하며, 많은 전통적인 군대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전술, 우선순위, 목표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다.[13][14]
7. 2. 유럽의 대응 태세
NATO는 2014년 9월 웨일스에서 열린 NATO 정상회담에서 러시아가 2014년 크림반도 합병 과정에서 보여준 군사 행동을 하이브리드 위협으로 정의했다. 이후 NATO는 EU와 공조하며 공식 및 비공식 고위급 회담, 군사 훈련, 조직 정비 등을 통해 하이브리드 위협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2014년 웨일스 정상회담부터 2016년 브뤼셀 정상회담, 2018년 바르샤바 정상회담에 이르기까지 유럽은 NATO와 EU 간에 정치·군사·전략적 차원에서 하이브리드 위협에 다양하게 협력하고 있다. NATO는 회원국 간 신속하고 효과적인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14년 1월 라트비아에 'NATO 전략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설립했다.EU 역시 NATO와 협력하여 하이브리드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 2016년 브뤼셀 정상회담에서는 '유럽 연합의 하이브리드 위협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라는 제목의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22개 항목의 구체적인 대응 조치를 마련했다.
유럽에서는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부터 기존의 사이버전 대응 훈련의 일부로 하이브리드 위협 대응 군사 훈련을 실시해왔다. 대표적인 예로 '라키드쉴드 훈련'은 국가의 IT 시스템과 주요 인프라를 방어하는 기술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이버 방위 훈련으로, 'NATO 사이버방어협력센터'가 2010년부터 주관해왔다. 2016년부터는 하이브리드 위협에 대해 민간과 군이 합동으로 대응하는 훈련도 실시하고 있다.
8. 학자별 정의

혼성전(Hybrid warfare)에 대한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정의는 없으며, 그 유용성과 단순히 비정규전 방식을 사용하여 전통적으로 우세한 세력에 대응하는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이 용어의 모호성 때문에 종종 모든 비선형적 위협에 대한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된다.[9][10][11][12]
학자별 정의는 다음과 같다.
- 프랭크 호프만(Frank Hoffman): 하이브리드 전쟁을 “재래식 능력, 비정규 전술 및 대형과 무차별적 폭력, 강압 및 범죄적 무질서가 포함된 테러리스트 행위 등을 모두 포괄한 다양한 전쟁양상의 전영역을 통합한 전쟁”으로 정의했다. 그는 국가와 다양한 비국가 행위자에 의해 다중적 활동들이 수행될 수 있지만, “시너지 효과를 거두기 위해 주전장 내에서 전술적·작전적인 조율 및 지휘가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주장했다.
- 존 맥큐언(John J. McCuen): 하이브리드전을 “물리적 및 개념적 차원에서의 전영역 전쟁”으로 정의했다. 물리적 차원은 “적 부대에 대항하는 투쟁”이며, 개념적 차원은 “전투지역 내 현지 주민, 개입국가들이 벌이는 국내 전선에 대한 지원, 그리고 국제 사회의 지원을 통제 및 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보다 광범위한 투쟁”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그는 하이브리드전이 재래식 전장, 공격받은 국가의 주민, 개입국의 국내 주민과 국제사회라는 “세 가지 결정적인 전장”에서 치러지며, 이들 전선에서의 동시적 성공이 요구된다고 주장하였다.[14][21]
미군과 NATO 등에서는 유사한 개념으로 '혼합 위협(hybrid threa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 미합중국 육군 참모총장(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rmy): 혼합 위협을 "기존, 비정규, 테러 및 범죄 능력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조합을 통합하는 적"으로 정의했다.[10]
- 미합중국 합동군사령부(United States Joint Forces Command): 혼합 위협을 "작전 전투 공간에서 기존, 비정규, 테러 및 범죄 수단 또는 활동의 맞춤형 조합을 동시적이고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적"으로 정의하며, 단일 주체라기보다는 국가 행위자와 비국가 행위자의 조합일 수 있다고 본다.[10]
- 미 육군(US Army): 2011년 혼합 위협을 "상호 이익이 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통합된 정규군, 비정규군, 범죄 요소 또는 이러한 군대와 요소의 조합"으로 정의했다.[10]
- NATO: 이 용어를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 및 비전통적 수단을 동시에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을 설명하는 데 사용한다.[9]
전 미 육군 참모총장 조지 케이시 주니어(George W. Casey Jr.)는 미래에 점점 더 일반화될 새로운 유형의 전쟁, 즉 "비정규전과 재래식 전쟁의 혼합"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11]
2017년에 설립된 혼합 위협 대응 유럽 우수 센터(European Centre of Excellence for Countering Hybrid Threats)에 따르면, "혼합 위협은 상대방의 취약성을 목표로 하는 방법과 활동"이며, "방법과 활동의 범위는 넓다".[22]
9. 국가별 정의
미국 합동전력사령부는 하이브리드 위협을 "작전적 전장에서 재래식, 불규칙적, 테러, 범죄 수단의 혼합된 형태의 공격을 동시다발적으로 강행하는 적"이라고 정의한다. 조지 W. 케이시 전 미 육군 참모총장은 하이브리드 전쟁이 미래에 점점 더 보편화될 새로운 유형의 전쟁이며 "비정규 전쟁과 재래식 전쟁의 혼합체"라고 언급하였다.[80] 로버트 게이츠 전 미 국방장관은 2008년 6월, 미래에는 전쟁 범주들의 경계선이 흐릿해지고, 단순한 것부터 정교한 수준에 이르기까지 더욱 다양한 전쟁 도구 및 수단들이 “복잡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전쟁에서 동시에 운용”될 것으로 예상했다.[81] 같은 해 미 육군 교육사가 발간한 교범의 서문에서는 미래 작전환경의 특징을 “분권화되고 조합화된 정규/비정규 집단, 테러리스트, 범죄조직들이라는 하이브리드 위협”으로 명시했다.[82] 미 육군은 2011년 혼합 위협을 "상호 이익이 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통합된 정규군, 비정규군, 범죄 요소 또는 이러한 군대와 요소의 조합"으로 정의했다.[10] NATO는 이 용어를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 및 비전통적 수단을 동시에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을 설명하는 데 사용한다.[9]
러시아군 총참모장 발레리 게라시모프는 2013년 한 연설에서 21세기 비선형 전쟁의 특징을 "전쟁 상태와 평화 상태 사이의 모호성"으로 규정지었다.[83] 또한 하이브리드 전쟁을 "선전포고 없이 이뤄지는 정치·경제·정보·기타 비군사적 조치를 현지 주민의 잠재력과 결합시킨 비대칭적 군사행동"으로 정의하였다.[84] 게라시모프는 2013년 발표한 "예측에서 과학의 가치"라는 논문에서 전쟁 수단으로 군사적 수단뿐 아니라 비군사적 수단의 역할이 증가하고 있으며, 정치·경제·정보·인도적 조치를 통해 적국 주민의 "저항 잠재력"을 활성화하는 것이 이루어진다고 서술했다.[60]
참조
[1]
서적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The Rise of Hybrid Wars
https://www.comw.org[...]
Potomac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
간행물
A Cooperative Strategy For Maritime Security
General James T. Conway, USMC, Admiral Gary Roughead, USN and Admiral Thad W. Allen, USCG
2007-10-00
[3]
웹사이트
Election Shenanigans Kenya Hybrid Warfare
https://figshare.com[...]
Figshare
2022-03-31
[4]
잡지
Menacing Malware Shows the Dangers of Industrial System Sabotage
https://www.wired.co[...]
2018-03-24
[5]
잡지
It's the (Democracy-Poisoning) Golden Age of Free Speech
https://www.wired.co[...]
2018-03-24
[6]
웹사이트
Inside a European Center to Combat Russia's Hybrid Warfare
https://foreignpolic[...]
2018-01-31
[7]
웹사이트
Defense lacks doctrine to guide it through cyberwarfare
http://www.nextgov.c[...]
nexgov.com
2010-09-17
[8]
서적
On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9-00-00
[9]
웹사이트
The Islamic State is a Hybrid Threat: Why Does That Matter?
http://smallwarsjour[...]
Small Wars Foundation
2015-08-05
[10]
웹사이트
Hybrid threat concept: contemporary war, military planning and the advent of unrestricted operational art.
http://cgsc.contentd[...]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5-08-05
[11]
웹사이트
Hybrid Wars
http://www.govexec.c[...]
National Journal Group
2015-08-05
[12]
학술지
Bastardizing Peacekeeping and the Birth of Hybrid Warfare
2022-03-24
[13]
웹사이트
Hybrid War: Old Concept, New Techniques
http://smallwarsjour[...]
Small Wars Foundation
2015-08-05
[14]
학술지
Deterring hybrid warfare: a chance for NATO and the EU to work together?
http://www.nato.int/[...]
2014-11-18
[15]
서적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The Rise of Hybrid War
Potomac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07-00-00
[16]
뉴스
Islamic State 'adapting to US-led air strikes'
https://www.bbc.com/[...]
2015-08-05
[17]
학술지
Ruling Arms
http://www.worldpoli[...]
2016-06-17
[18]
뉴스
The Illicit Arms Trade in Africa
https://fas.org/asmp[...]
2016-06-17
[19]
웹사이트
Russia having success in hybrid war against Germany
http://blogs.reuters[...]
Reuters
2016-02-07
[20]
웹사이트
A Joint Centre To Combat Hybrid Warfare Threats
https://web.archive.[...]
2016-12-06
[21]
학술지
Hybrid Wars
https://www.armyupre[...]
2021-04-17
[22]
웹사이트
HYBRID THREATS
https://www.hybridco[...]
2018-01-31
[23]
학술지
Blurred Lines: Gray-Zone Conflflict and Hybrid War—Two Failures of American Strategic Thinking
https://digital-comm[...]
2021-09-06
[24]
웹사이트
Gray-zone Conflict Management: Theory, Evidence, and Challenges
https://www.airunive[...]
Air Force University
2021-02-18
[25]
웹사이트
Grey-Zone Conflict: Implications for Conflict Management
https://www.cgai.ca/[...]
CGAI
2021-02-24
[26]
웹사이트
What is Hybrid Warfare?
https://globalsecuri[...]
2018-07-26
[27]
웹사이트
Ancient Philosophy of Hybrid War and Propaganda
https://dnd.com.pk/a[...]
2021-03-23
[28]
서적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The Rise of Hybrid War
Potomac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07-00-00
[29]
서적
The Carrera Revolt and "Hybrid Warfare" in Nineteenth Century Central America
https://link.springe[...]
Palgrave Macmillan
2017-00-00
[30]
잡지
Dreaming of Tannu-Tuva: Soviet precursors to Russia's hybrid warfare
https://neweasterneu[...]
2020-03-20
[31]
웹사이트
Simo: Vietnam War – The New Aspect of Warfare
https://content.scie[...]
2019-11-28
[32]
서적
Hybrid War in Vietnam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9-06
[33]
잡지
Training a "Hybrid" Warrior at the Infantry Officer Course
http://smallwarsjour[...]
Small Wars Foundation
2015-08-05
[34]
서적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The Rise of Hybrid War
Potomac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07-00-00
[35]
서적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The Rise of Hybrid War
Potomac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07-00-00
[36]
논문
Hybrid Actors, Tactical Variety: Rethinking Asymmetric and Hybrid War
http://www.tandfonli[...]
2021-09-06
[37]
뉴스
Don't Be Fooled: Russia Attacked U.S. Troops in Syria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8-02-16
[38]
논문
Making Sense of Hybrid Warfare
2016
[39]
서적
Not 'Hybrid' but New Generation Warfare
The Jamestown Foundation
2019
[40]
뉴스
Russia v the West: Is this a new Cold War?
https://www.bbc.com/[...]
BBC
2018-04-01
[41]
논문
The Changing Nature of Modern Warfare
2015-09-04
[42]
웹사이트
E.U. Suspects Russian Agenda in Migrants' Shifting Arctic Route
https://www.nytimes.[...]
2016-04-02
[43]
웹사이트
REMARKS BY FOREIGN MINISTER SERGEY LAVROV AT THE XXII ASSEMBLY OF THE COUNCIL ON FOREIGN AND DEFENCE POLICY
http://valdaiclub.co[...]
2014-11-25
[44]
웹사이트
Russia and America's Dangerous Dance
http://nationalinter[...]
2014-12-06
[45]
뉴스
The Strategic Threat from Iranian Hybrid Warfare in the Gulf
https://www.csis.org[...]
2019-06-13
[46]
뉴스
The Iran crisis will show Russia and China the West still has no answer for 'hybrid warfare'
https://www.telegrap[...]
2019-07-13
[47]
뉴스
Has Iran chosen hybrid warfare?
https://thehill.com/[...]
2019-06-14
[48]
뉴스
'Drone' attack on Saudis destabilises an already volatile region
https://www.bbc.com/[...]
2019-09-16
[49]
뉴스
The necessity of "effective reaction" against U.S. hybrid war
https://www.tehranti[...]
2019-06-22
[50]
간행물
The current crisis in the Persian Gulf in the context of hybrid warfare
https://www.academia[...]
Australian Defence Force Journal
2018
[51]
논문
How China's Cognitive Warfare Works: A Frontline Perspective of Taiwan's Anti-Disinformation Wars
2022-07-19
[52]
뉴스
China's Hybrid Warfare and Taiwan
https://thediplomat.[...]
2018-01-13
[53]
뉴스
Hybrid Warriors: China's Unmanned, Guerrilla-Style Warfare in Asia's Littorals
https://thediplomat.[...]
2017-02-16
[54]
웹사이트
EU condemns Belarus for 'direct attack' using migrants
https://www.msn.com/[...]
Associated Press
[55]
웹사이트
Baltic, Polish PMs condemn 'hybrid attack' by Belarus
https://www.lrt.lt/e[...]
2021-08-23
[56]
웹사이트
Hybrydowa agresja Białorusi na UE
https://www.gov.pl/w[...]
2021-11-09
[57]
웹사이트
核兵器を超えたフェイクニュースの脅威 ロシアのハイブリッド戦闘能力(前編)
https://the01.jp/p00[...]
THE ZERO ONE
[58]
논문
ウクライナ危機にみるロシアの介入戦略 ハイブリッド戦略とは何か
[59]
웹사이트
4期目目前のプーチン氏、内と外で直面する難題 : 深読み
https://www.yomiuri.[...]
2018-03-13
[60]
웹사이트
「西側が仕掛ける新しい戦争」? ロシアの新軍事ドクトリン
https://wedge.ismedi[...]
2014-11-25
[61]
웹사이트
WSI COMMENTARY VOL.1 NO.6 (DECEMBER 2014-2) ロシアが軍事ドクトリンを改訂 ハイブリッド戦争と過激主義テロへの視線 {{!}} World Security Intelligence
http://wsintell.org/[...]
[62]
웹사이트
米海大ナウ!
https://www.mod.go.j[...]
[63]
논문
ウクライナ危機にみるロシアの介入戦略 ハイブリッド戦略とは何か
[64]
서적
Gunji taikoku roshia : arata na sekai senryaku to kōdō genri
https://www.worldcat[...]
Sakuhinsha
2016-04
[65]
서적
Puchin no kokka senryaku : Kiro ni tatsu kyokoku roshia.
https://www.worldcat[...]
東京堂出版
2016-11
[66]
웹사이트
Hybrid War: Old Concept, New Techniques
http://smallwarsjour[...]
Small Wars Foundation
2015-03-02
[67]
웹사이트
Hybrid Wars
http://www.govexec.c[...]
National Journal Group
2008-05-01
[68]
서적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The Rise of Hybrid War
Potomac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07
[69]
웹사이트
Hybrid Wars
http://www.govexec.c[...]
National Journal Group
2008-05-01
[70]
서적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The Rise of Hybrid War
Potomac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07
[71]
웹사이트
The Islamic State is a Hybrid Threat: Why Does That Matter?
http://smallwarsjour[...]
Small Wars Foundation
2014-12-02
[72]
저널
Hybrid Actors, Tactical Variety: Rethinking Asymmetric and Hybrid War
[73]
저널
ウクライナ危機にみるロシアの介入戦略 ハイブリッド戦略とは何か
[74]
웹사이트
核兵器を超えたフェイクニュースの脅威 ロシアのハイブリッド戦闘能力(後編)
https://the01.jp/p00[...]
2019-02-19
[75]
뉴스
Don't Be Fooled: Russia Attacked U.S. Troops in Syria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8-02-16
[76]
뉴스
Russia v the West: Is this a new Cold War?
https://www.bbc.com/[...]
BBC
2018-04-01
[77]
저널
The Changing Nature of Modern Warfare
2015-09-04
[78]
웹사이트
REMARKS BY FOREIGN MINISTER SERGEY LAVROV AT THE XXII ASSEMBLY OF THE COUNCIL ON FOREIGN AND DEFENCE POLICY
http://valdaiclub.co[...]
2014-11-25
[79]
웹사이트
Russia and America's Dangerous Dance
http://nationalinter[...]
[80]
웹인용
Hybrid Wars
http://www.govexec.c[...]
National Journal Group
2008-05-01
[81]
논문
A Balanced Strategy - Reprogramming the Pentagon for a New Age
2010-11-12 # 추정 날짜 (November-December 2010)
[82]
문서
Field Manual No 3-0: Operations, Change 1
HQs, Department of the Army, Washington, DC
2011-02-22
[83]
서적
러시아 연방의 정보-심리작전과 재귀 통제(Reflexive Control)
한국서양사연구회
2022-05
[84]
웹인용
만파식적 하이브리드 전쟁
https://www.sedaily.[...]
2021-09-13
[85]
논문
강대국들의 하이브리드전(Hybrid Warfare)과 주요 사례분석
2022
[86]
웹인용
외교안보연구소
https://www.ifans.go[...]
[87]
웹인용
하이브리드 전쟁의 위협과 대응
https://www.asaninst[...]
2019-12-05
[88]
뉴스
중국의 韓사드 보복은 자해적 행동
https://www.yna.co.k[...]
연합뉴스
[89]
문서
우크라이나의 수도
[90]
저널
적의 인지영역을 공략하는 정보전쟁에 대한 연구: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중국의 한반도 사드배치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0
[91]
뉴스
이란 핵시설 공격 스턱스넷(Stuxnet·악성코드)은 이스라엘·美 작품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92]
웹인용
하이브리드 전쟁 시대가 도래했다
http://www.munhwa.co[...]
2017-04-26
[93]
저널
러시아의 하이브리드전;우크라이나사태를 중심으로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18
[94]
웹인용
하이브리드 위협에 대한 최근 유럽의 대응
https://www.ifans.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